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 및 지급일 총정리
근로장려금은 소득이 적은 근로자·자영업자에게 정부가 직접 현금으로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2025년에도 많은 국민들이 이 혜택을 기다리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 근로장려금의 신청 자격, 금액, 지급일을 가장 최신 정보로 정리해드립니다.
1. 근로장려금이란?
근로장려금(EITC, Earned Income Tax Credit)은 정부가 근로 의욕을 높이고, 저소득 가구의 소득을 지원하기 위해 매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신청 후 심사를 거쳐, 연 1~2회에 걸쳐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2.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 요건
근로장려금 수급 여부는 아래 3가지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① 가구 유형별 총소득 요건
- 단독가구: 총소득 2,200만원 미만
- 홑벌이 가구: 총소득 3,200만원 미만
- 맞벌이 가구: 총소득 3,800만원 미만
② 재산 요건
가구 구성원의 2024년 6월 1일 기준 재산 합계가 2억 4천만원 미만이어야 하며, 1억 7천만원 이상일 경우 일부 감액 지급됩니다.
③ 거주 요건
신청자는 반드시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19세 이상 거주자여야 하며, 배우자 또는 자녀가 외국인일 경우 일부 제한이 있습니다.
3. 2025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신청은 연 2회로 나뉘며, 정기 신청과 반기 신청이 있습니다.
📅 정기 신청
- 신청 기간: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지급 시기: 8월 말 ~ 9월 초
📅 반기 신청 (근로소득자만 가능)
- 상반기 신청: 3월 중 → 6월 지급
- 하반기 신청: 9월 중 → 12월 지급
✅ 신청 방법
- 국세청 홈택스 접속
- 본인 인증 후 [근로·자녀 장려금 신청] 클릭
- 가구 정보 및 소득 확인 후 신청 완료
스마트폰을 이용한 손택스 앱 신청도 가능합니다.
4. 근로장려금 예상 지급 금액
2025년에는 물가 상승에 따라 일부 지급 기준이 상향 조정되었으며, 최대 지급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단독가구: 최대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최대 290만 원
- 맞벌이 가구: 최대 350만 원
실제 지급액은 총소득과 재산 수준에 따라 달라지므로 국세청 제공 장려금 모의계산기를 활용해 보세요.
5.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작년에 신청했으면 올해도 자동 신청되나요?
- A. 아닙니다. 매년 별도로 신청해야 합니다.
- Q. 본인이 근로소득이 없고 배우자만 소득이 있어도 신청 가능한가요?
- A. 네, 가구 소득 기준을 충족한다면 가능하며, 홑벌이 또는 맞벌이 가구로 분류됩니다.
- Q. 지급일은 정확히 언제인가요?
- A. 정기 신청 기준으로는 2025년 8월 30일 전후로 지급 예정입니다.
6. 마무리 및 참고 링크
근로장려금은 매우 현실적인 정부 복지 혜택입니다. 단 몇 분의 신청으로 수십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니, 신청 자격이 되는 분이라면 절대 놓치지 마세요!
0 댓글